공지사항
뉴로나타-알주 임상 3상 주요 바이오마커 추가 분석 결과 안내 관리자 2025.03.25 |
|
첨부파일 | |
뉴로나타-알주 임상 3상
주요 바이오마커 추가 분석 결과 안내
존경하는 주주 여러분께,
변함없는 관심과 신뢰로 기다려 주신 모든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앞으로 여러분의 믿음에 보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당사는 1차 유효성 지표에서 시험군과 대조군 간의 통계적 유의성을 확보하지 못함에 따라 치료제의 유의미한 효과를 보이는 환자군을 명확히 정의하기 위해 임상 2상에서 진행되었던 모든 평가 내용을 포함시켜 환자의 혈액 및 척수 샘플의 전면적인 재분석과 종합 평가를 수행해 왔습니다. 약물 투여 전후에
나타난 환자 별 임상적 변화와 바이오마커의 변동을 면밀히 검토 대한 상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염증 반응의 대표적 바이오 마커인 MCP-1(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의 경우 임상 지표와 의미 있는 상관관계가 확인되었습니다. 특히 호흡기능 지표인 SVC(Slow Vital Capacity) 변화와 MCP-1 변화 사이에 뚜렷한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는데, 이는 MCP-1 수치가 크게 감소한 환자일수록 동일 기간 동안 SVC 감소
폭이 적어 폐 기능 저하가 덜 발생했음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상관관계는
위약군보다 뉴로나타-알 투여군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습니다. 아울러 운동 기능을 나타내는 ALSFRS-R 점수 변화와 MCP-1 감소 사이에도 유사한 경향이 확인되었기에, MCP-1이
임상적 효과와 연관된 중요한 바이오 마커임을 시사합니다.
바이오 마커 MCP-1은 체내 염증 시 분비되는 케모카인(chemokine)으로, 손상 부위로 면역세포를 끌어들여 염증 반응을 증폭시키는 역할을 하며 특히
ALS 환자의 혈액 및 척수액(CSF)에서 MCP-1 수치가
증가하는 경향이 지속적으로 보고되어 왔으며 질병의 중증도 및 진행 속도와 밀접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질병 진행이 비교적 천천히 진행된 환자군(Slow Progressor 하위
그룹)을 별도로 분석한 결과, MCP-1과 임상 지표의 상관성이
더욱 강화되는 양상이 나타났습니다. 구체적으로, 12개월
시점까지 상태가 비교적 안정적이었던 환자들 가운데 MCP-1 수치가 크게 감소한 경우 SVC 등 기능 저하가 특히 적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이번 분석에서 뉴로나타-알 투여 후 MCP-1 수치 감소와 임상 악화 둔화 간의 연관성이
관찰된 것은, 본 치료제가 중추신경계의 염증 반응을 완화함으로써 질병 진행을 늦추는 작용 기전을 가질
가능성과 부합하는 결과입니다. 따라서, MCP-1 감소는
뉴로나타-알의 항 염증 효과를 반영하는 지표로서 향후 유의미한 의미가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당사는 또한 임상시험
결과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위해 면역 관련 사이토카인 분석도 병행하였습니다. 그 결과, TGFB1과 FSTL1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확인되었습니다 (상관계수 R=0.64, p<0.001).
시험군2 환자들에게서 TGFB1과
FSTL1 수치가 동시에 증가하는 경향이 관찰되었고, 이는 특정 면역반응 또는 조직 환경
변화의 간접적 지표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이러한 관찰 결과는 치료에 따른 생물학적 변화를
시사하는 부분으로서, 향후 추가 분석을 통해 그 의미를 면밀히 확인할 계획입니다.
한편, 미국 FDA의 Tofersen 승인은
바이오 마커 활용 전략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입니다. FDA는 SOD1 유전성 ALS 치료제인
Tofersen(Qalsody)을 가속 승인하면서, 임상 지표와 함께 신경 퇴행 바이오
마커인 NfL 감소를 유의한 근거로 인정하였습니다. 이처럼
바이오 마커에 기반한 평가와 승인 사례가 등장하고 있는 만큼, 당사도
NfL을 포함한 다양한 바이오 마커를 승인 전략에 적극 활용하기 위해 분석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경우에도
신경세포 손상 지표인 NfL(Neurofilament Light chain)에 대한 결과에서 일부 환자군의 NfL 수치 변화와 임상 증상 변화 간의 의미 있는 경향이 관찰되었으며, 당사는
NfL의 임상적 활용 가능성을 높게 평가하고 있습니다.
현재 진행중인
시계열 추적 분석 (time-series longitudinal analysis) 및 하위 집단 분석
등을 통해 관련성을 더욱 명확히 규명한다면 치료 반응을 설명할 수 있는 정량적 지표로서의 잠재력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번 발표는 치료 효과와 연관된 바이오마커의 변화를 심층적으로 평가하여, 뉴로나타-알의 효능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더욱 명확히 하고 투자자 여러분께 신뢰성 높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습니다. 당사는 향후에도 지속적인 바이오마커 기반 환자 반응 분석을 통해 약물 반응이 뚜렷한 환자군의 특성을 보다 정밀하게 규명하고, 이에 치료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는 최적의 환자 그룹을 도출하고자 합니다.
이를 기반으로
지속적 연구를 통해 뉴로나타-알의 작용 기전을 더욱 깊이 이해하고 빠른 시일 내 정교한 투여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여, 궁극적으로 치료제 승인 전략을 한 단계 더 고도화해 나가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코아스템켐온 일동
올림.
|